위스키에 재미를 붙이고자 할 때, 사게되는 아이템들이 몇 개 있다.
내 경우에는 세 가지가 있었는데, 위스키 디캔터, 위스키 전용잔(테이스팅 & 온더락), 그리고 위스키에 넣을 아이스 큐브다.

위스키 전용잔은 무조건 구매해야 하는 필수품이라는 생각이 든다. 구매하길 정말 잘했다.
위스키 디캔터는 순전히 허세용으로 구매한 아이템인데, 가끔 위스키의 코르크가 바사삭 됐을 때 꽤나 유용하다. 물론 장식용으로도 매우 훌륭하다.
아이스 큐브는 물음표가 많은 아이템이고, 좀처럼 손이 안간다.
아이스 큐브는 왜 사는가?
아이스 큐브를 샀을 때 생각의 구조를 떠올려 보면 매우 단순하다. 이유는 총 세 가지다
- 위스키를 시원하게 마시고 싶다(미지근한 술은 별로니까)
- 그런데 얼음이 녹아 위스키 맛이 변하는게 싫다(물을 탄 술은 밍밍하니까)
- 간지가 날 것 같다(Flex)
차가운 아이스큐브가 위스키를 시원하게 해주고, 위스키를 밍밍하게 만들지도 않고, 간지까지 나니 그 당시 생각으로 아이스큐브는 정말 최고의 선택이었다. 그래서 망설임 없이 주문했고, 초반에는 꽤나 자주 애용했다.
위스키용으로 아이스 큐브는 추천하지 않는다.
하지만 지금 누군가 나에게 아이스 큐브에 대해 물어본다면, 나는 구매를 반대 할 것이다. 물론 가격이 비싸지도 않으니 직접 경험해보고 더 사용할지 말지 결정해도 되겠지만, 그래도 물어본다면 일단 반대할 것이다.
아이스큐브가 별로인 이유
첫 번째, 위스키를 그닥 시원하게 해주지 않는다.
아이스큐브는 얼음만큼 위스키의 온도를 내려주는 역할을 하지 못한다. 다만 현재 온도를 잘 유지해 줄 뿐. 만약 위스키가 이미 적정온도로 보관되고 있는 상황에서, 주위 온도가 너무 높아 위스키의 온도를 보존하고 싶다면 썩 잘 맞을 수는 있다. 하지만 위스키를 원하는만큼 시원하게 해줄 수는 없다.
이와 관련하여 NYU(뉴욕주립대)에서 분석한 결과도 있다. 21℃ 정도의 위스키에 아이스큐브(아이스스톤)를 넣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위스키의 온도를 측정한 것이다. 결과적으로 20분 후 위스키의 온도는 채 5℃도 내려가지 않았다. 심지어 10분 이후부터는 온도가 다시 상승하기 시작했다.
두 번째, 아이스 큐브를 사용해도 물이 섞일 수 있다.
첫 번째에서 위스키를 시원해주지 않는다고 했지만, 나를 비롯한 아이스큐브 사용자들은 반박 할 수 있다. 왜냐면, 분명 아이스큐브를 넣었을 때 위스키가 시원해졌던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. 하지만 이는 아이스큐브 자체의 능력이 아니라고 생각한다.
아이스큐브를 사용하고 다시 보관 할 때, 중간에는 분명 세척 과정이 있다. 그리고 세척한 아이스큐브를 마른 행주나 키친타올로 완전 건조하지 않는 이상, 물이 묻어 있는 상태로 냉동 보관을 하게 된다. 결과적으로 아이스큐브 겉에 얇은 얼음막이 형성될 것이고, 이 얼음들이 위스키의 온도를 내려주는 것이다. 그래서 분명한 건, 두 번째 잔부터는 위스키가 시원해지지 않는다.
이 원리를 다시 생각해본다면, 결국은 아이스큐브에 붙어 있는 얇은 얼음들이 위스키에 녹아든다는 것이다. 그래서 아이스큐브를 사용해도 물이 조금이나마 섞일 수 있다는 것이다.
물론 물이 섞이는게 좋다, 나쁘다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. 그것은 온전히 개인의 취향이기 때문. 하지만 아이스큐브의 사용 의도와는 다르게 물이 섞일 수 있다는 점을 말하고 싶다.
세 번째, 잔의 파손 위험이 있다.
다른 리뷰들을 찾아봐도 자주 언급되는 내용인데, 아이스큐브에 의해서 더 비싸고 소중한 온더락 잔이 깨질 수 있다. 위에 올려 놓은 사진을 다시 한 번 보면, 총 세 개의 아이스큐브가 잔에 들어 있다. 개인적인 경험으로 두 개까지는 잔의 파손 위험이 적다. 하지만 세 개부터는 파손 위험이 급증한다.
아이스큐브 세 개를 넣고 위스키를 마시면, 두 개는 내 입쪽으로 다가와 잔에 붙지만, 하나는 다른 아이스큐브에 막혀 오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. 위스키 양이 많고, 잔을 덜 기울일 때는 괜찮다. 하지만 남은 위스키가 적어 잔을 많이 기울이면, 막혀서 오지 못하던 아이스큐브가 입쪽으로 넘어지면서 잔을 강타한다. 이런 현상으로 잔을 깬 사람들이 부지기수라니, 아이스큐브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조심 할 수밖에 없다
위의 세가지 '별로인' 이유와 더불어 아이스큐브가 필요 없어진 것도 더이상 아이스큐브를 사용하지 않는 큰 이유다.
아이스큐브가 필요하지 않게된 이유
위스키를 차게 마시지 않게 되었다.
온전히 개인적인 취향이나 느낌이겠지만, 위스키는 실온에서도 향을 더 잘 느낄 수 있고, 맛도 더 있다. 물론 상대적으로 서늘한 곳에 위스키를 보관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. 그래서 위스키를 시원하게 마실 필요성을 잘 못느끼고 있으며, 결과적으로 목적을 잃은 아이스큐브에 손이 가지 않는다.
얼음을 넣은 위스키의 매력을 알게 되었다.
위스키에 얼음을(가급적이면 매우 큰 얼음을) 넣는 것은 그 자체로 매력적이다. 위스키를 시원하게 해주는 점도 있지만,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이 조금씩 섞이면서 변해가는 위스키를 마시는 재미도 있다. 위스키를 마시는 법에는 아무것도 넣지 않는 니트부터 한 두 방울의 물을 넣는 법, 물을 많이 넣는 미즈와리까지 물과 위스키를 조화를 노린 방법이 다양하다. 하나의 큰 얼음을 위스키에 넣는다면,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음용법의 이점을 모두 맛볼 수도 있다.
그래서 더이상 아이스큐브에는 손이 가지 않는다. 아직 아까운 마음에 버리지는 않았지만, 앞으로도 사용 할 일은 많지 않을 것 같다.
아이스큐브를 살지, 말지 고민중인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.
'알술신잡 > 술에 대한 간단 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주 쓴 맛의 진실 - 소주 애호가라면 알아야 할 상식 (1) | 2020.03.23 |
---|---|
술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을까 - 위스키, 브랜디, 보드카, 진, 럼, 데낄라 (0) | 2020.02.21 |